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상징과 정치

Symbol and politics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12
형태사항
454 p. : 삽화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p.450-452)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연구외도서G10051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051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연구외도서
책 소개
상징이란 무엇인가? 달(月)이라는 말은 하늘에 있는 달이라는 실체를 상징한다. 달을 그린 그림도 달을 상징한다. 그림 대신에 달이라는 말을 인간이 만들어서 통용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달이라는 용어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달님 속의 항아리’라는 어구도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미지는 특정한 방향으로 마음을 이끌어서 어떠한 것을 지시한다. 상징이 인간생활, 나아가서는 정치생활 일반에 가지는 의미를 우선 제1장과 제3장에서 다루게 된다. 여기서 논의된 것을 바탕으로 하여 책의 제목이『상징과 정치』인 만큼 이 책은 상징이 정치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상징을 조작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동원할 자원은 주로 국가가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선 국가를 중심으로 상징과 정치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8 제1부­이론적 고찰 제1장 상징과 정치적 권위 22 Ⅰ. 서론 22 Ⅱ. 개인, 사회 그리고 상징 23 III. 상징과 정치 29 IV. 정치의 비합리성 47 V. 결어 68 제2장 민주주의 체제와 전체주의 체제의 상징에 대한 비교분석 75 Ⅰ. 문제제기 : 상징과 서구 합리성 비판 75 Ⅱ. 상징의 의미 및 기능 78 Ⅲ. 정체와 상징 : 상징구조 및 상징내용의 비교 90 Ⅳ. 맺음말 100 제3장 경험과 상징의 관계에 대한 정치이론적 고찰 : 카시러, 보에글린, 까뮈를 중심으로 109 Ⅰ. 왜 상징 문제인가? 109 Ⅱ. 상징적 동물과 정치적 동물 112 Ⅲ. 상징형식과 정신활동 : 카시러 119 Ⅳ. 역사적 경험과 상징(화)의 조응 : 보에글린 125 Ⅴ. 문학과 상징의 관계 : 까뮈 131 Ⅵ. 새로운 상징화의 가능성은? 138 제4장 상징과 소비에트 정치문화 146 I. 서론 146 II. 사회주의적 상징으로서의 소비에트 149 III. 사회주의 정치문화 : 당 지도자와 소비에트 인민의 이원성 161 IV. 선전^선동의 표상으로서 레닌 166 V. 결론 173 제5장 정치적 상징으로서 건축 : 독일 제3제국의 건축을 중심으로 181 Ⅰ. 머리말 181 Ⅱ. 정치적 상징으로서 건축 언어의 독해 183 Ⅲ. 모더니즘 건축과 정치 이데올로기 188 Ⅳ. 히틀러의 건축적 취향 190 Ⅴ. 제3제국의 건축 193 Ⅵ. 결론 201 제6장 국가상징과 뉴스 미디어의 현실구성 205 Ⅰ. 서론 205 Ⅱ. 미디어의 변화와 국가상징 207 Ⅲ. 국가상징의 표현방식과 재생산 210 Ⅳ. 뉴스 미디어와 국가상징 213 Ⅴ. 뉴스 속의 국가상징과 담론체계 : 대통령, 권력기관 215 Ⅵ. 8^15 뉴스에 나타난 국가상징 218 Ⅶ. 결론 223 제2부 경험적 고찰 제7장 상징으로서의 예술과 정치 232 Ⅰ. 서언 232 Ⅱ. 예술과 권력 236 Ⅲ. 이미지, 상징 그리고 정치 242 Ⅳ. 상징 장악력과 권력 252 Ⅴ. 결어 260 제8장 나치 체제와 상징 :“민족공동체”의 해부를 중심으로 270 Ⅰ. 머리말 : “내 안의 혼돈”과 이상사회를 향한 동경 270 Ⅱ. 일상과 정서적 공감의 상징 : “자유로부터의 도피” 273 Ⅲ. 공적 · 공간적 상징체로서의 ‘민족공동체’의 구조적 해부 279 Ⅳ. 맺음말 297 제9장 애국가 동영상에 나타난 국가상징에 대한 인식 연구 : 사람들은 새로운 이미지를 원하는가? 310 Ⅰ. 서론 310 Ⅱ. 애국가 동영상에 나타난 국가상징 311 Ⅲ. 주관성 분석의 방법론 313 Ⅳ. Q분석 결과 317 Ⅴ. 종합적 결론 324 제10장 스탈린 체제와 상징 : 선전^선동의 아이콘 328 I. 머리말 328 II. 일국사회주의의 상징들 331 III. 사회주의 조국수호의 상징들 349 IV. 결론 357 제11장 러시아 정치체제 변화의 상징으로서 건축의 변화 366 Ⅰ. 서론 366 Ⅱ. 사회주의 혁명 직후의 건축(1917-1933) 367 Ⅲ. 스탈린 시대의 건축(1933-1955) 373 Ⅳ. 포스트-스탈린 시대의 건축 377 Ⅴ. 사회주의 체제 붕괴 이후의 건축 381 Ⅵ. 결론 383 제12장 한국의 정치변동과 상징의 변화 : 건국·근대화·민주화를 중심으로 387 Ⅰ. 들어가기 : 상징과 이야기하기 387 Ⅱ. 정치변동과 꼬마 곱사등이 : 하나 속의 세 갈래 389 Ⅲ. 건국정치와 상징투쟁 : 삼균(三均)과 일민(一民) 395 Ⅳ. 빈곤으로부터의 해방과 ‘생산적’ 정치 : ‘혁명’, 새마을, 유신 401 Ⅴ. 정치적 자유와 저항정치 : 씨과 묏비나리 407 Ⅵ. 마무리하기 : 상징 연구의 중요성 413 제13장 북한의 정치상징 422 Ⅰ. 머리말 422 Ⅱ. 국가상징의 창조를 통한 “신(新)조선의 건설” 424 Ⅲ. 구호를 통한 상징정치 428 Ⅳ. 조형물을 통한 상징정치 435 Ⅴ. 맺음말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