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중남미 이해. 01

저자
기현서
발행사항
성남 : Hexagon(헥사곤), 2023
형태사항
490 p. : 삽화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82-49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E208254대출중2024.03.26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208254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4.03.26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중남미에 관한 심층 연구서. 대한무역진흥공사에서 28년간 근무하고 칠레 대사를 역임한 저자가 중남미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사건이나 현상의 배경이 된다고 생각되는 이슈들을 가급적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이슈들은 중남미 지역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사건과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앞으로의 동향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분석의 틀을 제공해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춰 선정되었다.

이 책은 크게 환경, 정치, 경제, 사회, 대외관계 등 5개의 부문으로 나뉘어 있다. 환경 부문은 자연, 자원, 문화, 비즈니스 환경 등 4개 이슈를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정치 부문은 정치, 통합, 전쟁 등 3개 이슈, 경제 부문은 경제사, 산업, 소비시장 등 3개 이슈, 사회 부문은 부패, 범죄와 폭력, 사회운동 등 3개 이슈, 대외관계 부문은 미국, 중국, 쿠바, 한국 등 4개 이슈로 총 17개 이슈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Part 1. 환경 Chapter 1. 자연 1. 개관 // 021 2. 위도와 산맥 //024 가. 위도(Latitude) // 026 나. 산맥(Mountains) // 030 1) 경사방향 (Aspects) // 032 2) 고도(Altitude) // 034 가) 티에르라 칼리엔테(Tierra Caliente: 더운 땅, 0~1,000미터) 나) 티에르라 템플라다(Tierra Templada: 온난한 땅, 1,000~2,000미터) 다) 티에르라 프리아(Tierra Fria: 추운 땅, 2,000~3,000미터) 라) 푸나(Puna: 춥고 황폐한 땅, 3,000~4,500미터) 마) 티에르라 엘라다(Tierra Helada: 언 땅, 4,500미터 이상) 다. 기후 // 038 라. 지형(Topography) // 041 1) 안데스(The Andes) // 042 2) 아마존과 오리노코(Amazon and Orinoco) // 044 3) 브라질 및 가이아나 고원(Brazilian and Guiana Highlands) // 044 4) 팜파스와 파타고니아(The Pampas and Patagonia) // 045 5) 멕시코와 중미 고원 그리고 카리브 (Mexico, Central America and The Caribbean) // 045 마. 토양(Soil Type) // 046 바. 기단(Air Mass)과 대기 순환 // 048 사. 강수량(Precipitation) // 049 아. 자연환경과 재해 // 051 자. 자연지리환경과 경제개발 // 056 차. 콜럼버스의 교환(The Colombian Exchange) // 057 Chapter 2. 자원 1. 개관 // 063 2. 자원과 중남미 경제 // 066 가. 벼락경기와 불경기의 순환(Boom and Bust Cycle) // 067 나. 자원과 경제개발이론 // 070 1) 경제개발 원동력으로서의 자원 // 071 2) 구조주의이론(Structuralism) 시대(1948~1990년) // 072 3) 신구조주의이론(Neo-Structuralism) 시대(1990~2018년) // 073 다. 신채굴주의(Neo-Extractivism) // 075 1) 채굴주의(Extractivism) // 076 가) 주역들(Actors) // 077 나) 영향(Impacts) // 078 ① 경제적 측면 ➁ 환경적 측면 ③ 사회적 측면 ④ 정치적 측면 ⑤ 몇 가지 사례 페루: 야나코차(Yanacocha) 금광 에콰도르: 야수니 국립공원(Yasuni National Park) 원유개발 2) 신채굴주의(Neo-extractivism) // 083 가) 채굴주의와의 차이 // 083 나) 상품 컨센서스(Commodity Consensus) // 084 라. 자원민족주의 // 086 1) 자원민족주의와 경제개발 // 087 2) 법과 제도의 변화 // 089 3) 주요국별 상황 // 091 콜롬비아 · 멕시코 · 브라질 · 페루 · 볼리비아 · 베네수엘라 3. 자원개발과 환경파괴 그리고 사회적 저항 // 112 가. 환경과 지속가능 경제개발 // 113 나. 사회적 저항 // 115 Chapter 3. 문화 1. 개관 // 117 2. 역사적 유산 // 118 3. 비즈니스 문화와 경영가치 // 120 가. 개요 // 120 나. 문화형성의 변수들(Cultural Variables) // 121 사회구조(Social Structures) · 호프스테드 문화적 관점 종교 · 개인 소통 · 비즈니스 관련 그 밖의 몇 가지 문화적 특징 4. 주요 국가별 비즈니스 문화 // 130 가. 아르헨티나 // 130 나. 볼리비아 // 134 다. 브라질 // 138 라. 칠레 // 142 마. 콜롬비아 // 146 바. 에콰도르 // 151 사. 멕시코 // 154 아. 파나마 // 159 자. 파라과이 // 162 차. 페루 // 166 카. 우루과이 // 171 타. 베네수엘라 // 175 Chapter 4. 비즈니스 1. 개관 // 179 2. 글로별경쟁력지수(GCI:Global Competitiveness Index) //179 3. 기업환경지수(Doing Business Index) // 181 4. 민주주의지수(Democracy Index) // 183 5.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 186 6.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 Index) // 187 7. 경제자유지수(Index of Economic Freedom) // 189 8. 여행관광경쟁지수(Travel and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 // 190 9. 글로벌성별격차지수(Global Gender Gap Index) // 192 10. 세계화지수(Globalisation Index) // 193 Part 2. 정치 Chapter 5. 지역정치 1. 개관 // 199 가. 정치문화의 변화 // 201 나. 경제변화 // 201 다. 사회변혁 // 202 라. 정치제도(Political Institutions) // 202 마. 공공정책 // 203 바. 국제환경 // 203 2. 중남미 정치 환경 // 204 가. 영토와 사람 // 204 나. 경제개발 // 205 다. 계층과 사회적 세력 // 207 라. 정치적 가치의 변화 // 208 3. 중남미 정치의 주역 // 210 가. 개요 // 210 나. 전통적 과두정치 세력(The Traditional Oligarchy) // 211 군부(The Armed Forces) · 로마 가톨릭교회(The Roman Catholic Church) 대농장 소유자들(Large Landowners) 다. 새로운 정치세력 // 215 상공업 엘리트 · 중산계층(the Middle Sectors) · 노동조합(Labor Unions) · 농민 라. 기타 신흥 세력들 // 220 인디오 원주민 그룹 · 여성 단체(Women’s Groups) · 비정부기구(NGOs) 마. 정당 // 222 4. 국가기구와 제도 그리고 정책 // 223 가. 역사적 유산 // 224 나. 중앙 정부 // 225 행정부-대통령 · 입법부 · 사법부 다. 지방정부 // 228 라. 국가자치기관(Autonomous State Agencies) // 228 마. 공공정책 // 229 5. 중남미 민주주의 여정 // 231 가. 최근 동향 // 231 나. 중남미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들 // 232 1) 역사적 유산으로서 이베리아 전통 // 233 2) 1980년대 이전의 민주주의 남용 // 233 3) 저개발과 소득불평등의 함정 // 235 4) 내전의 유산 // 236 5) 정부효율성 부족 // 237 다. 1978년 이후 민주주의 // 237 1) 자유민주주의(Liberal Democracy) // 238 2) 위임민주주의(Delegative Democracy) // 239 6. 주요 국가별 정치 // 240 가. 멕시코 // 241 1) 개관 // 241 2) 주요 정치사 // 242 3) 정치민주화 // 248 나. 아르헨티나 // 249 1) 개관 // 249 2) 역사적 유산 // 250 3) 페론주의 등장 // 252 4) 군부의 등장과 인권유린 // 253 5) 민주주의로의 이행 // 255 6) 페론 없는 페론주의: 메네미즘(Menemism) // 256 7) 키르츠네르주의(Kirchnerism) // 257 8) 마크리 우파정부 재집권 실패와 페론주의 정권 복귀 // 258 다. 브라질 // 259 1) 개관 // 259 2) 역사적 유산 // 260 3) 정치제도와 문화 // 268 4) 사회구조 // 269 라. 칠레 // 270 1) 개관 // 270 2) 초기 과두정치(Oligarchic Politics)와 칠레 민주주의 근간 // 271 3) 의회 주도 정치시기(1891~1925) // 272 4) 1925년 헌법과 정치적 연합의 시기(1925~73) // 274 5) 1973년 군부 쿠데타 // 276 6) 민주주의정당연합(Concertacion)과 칠레연합의 통치 // 277 마. 콜롬비아 // 278 1) 개관 // 278 2) 주요 정치사 // 279 3) 정치제도 // 283 바. 페루 // 284 1) 개관 // 284 2) 주요 정치사 // 285 3) 정치제도 // 291 사. 베네수엘라 // 293 1) 개관 // 293 2) 주요 정치사 // 295 3) 정치제도 // 301 Chapter 6. 지역통합 1. 개관 // 305 2. 주요 지역통합기구 // 307 가. 미주기구(OAS) // 307 나. 중남미자유무역연합(LAFTA) // 310 다. 중남미통합연합(LAIA, ALADI) // 311 라. 안데스공동체(Andean Community, CAN) // 312 마. 중미통합시스템(SICA) // 313 바. 남미공동시장(MERCOSUR) // 314 사. 카리브공동체(Caribbean Community) // 317 아. 태평양동맹(Pacific Alliance) // 318 자. 아메리카 볼리바르 동맹(ALBA) // 319 차. 남미국가연합(UNASUR) // 321 카.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국가공동체(CELAC) // 322 3. 중남미통합 평가와 과제 // 323 가. 구지역주의(Old Regionalism)의 실패 -중남미자유무역연합(LAFTA)과 중남미통합연합(LAIA) // 325 나. 신개방적지역주의(New-open Regionalism) // 327 다. 향후 도전과제 // 328 Chapter 7. 지역전쟁 1. 개관 // 333 2. 중남미 주요 전쟁 // 336 가. 독립전쟁 // 336 1) 아이티 독립전쟁(1791~1803) // 336 2) 중남미 독립전쟁 // 341 가) 뉴그라나다 부왕령과 베네수엘라 총독령 독립전쟁 // 342 나) 리오 데 라플라타 부왕령 독립전쟁 // 346 다) 페루 부왕령 독립전쟁 // 350 라) 뉴스페인 부왕령 독립전쟁 // 351 마) 브라질 부왕령 독립전쟁 // 355 나. 국가건설 초기 국경전쟁 // 358 1) 리오 데 라플라타 연방과 브라질 간 전쟁 그리고 우루과이 독립 // 358 2) 페루-그란 콜롬비아 전쟁 // 359 다. 국가분리 전쟁 // 362 1) 아르헨티나 내전 // 362 2) 중미연방 // 364 3) 페루-볼리비아 연방과 칠레 간 연방전쟁(War of Cofederation) // 366 4) 에콰도르 과야킬(Guayaquil)-키토(Quito)간 내전 // 368 라. 미국-멕시코 전쟁 // 370 1) 텍사스 독립전쟁(1835~1836) // 371 2) 제2차 텍사스-멕시코전쟁(1836~1844) // 372 3) 미-멕시코 전쟁(1846~48) // 373 마. 멕시코혁명(The Mexican Revolution) // 374 바. 삼국동맹전쟁(1864~70) // 377 사. 쿠바 독립전쟁 // 379 아. 태평양전쟁(The War of the Pacific) // 382 자. 미서전쟁 // 384 Part 3. 경제 Chapter 8. 지역경제 1. 개관 // 389 2. 시기별 중남미 경제 // 392 가. 1820~70년대: 국가건설시기 // 394 나. 1870년~제1차 세계대전: 수출 붐 시기 // 396 다. 1900~1920년대 // 399 라. 수입대체산업시기 // 401 마. 냉전시기 // 404 바. 외채위기시기: 잃어버린 10년 // 409 사.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실시와 평가 // 414 1) 신자유주의 경제정책 도입과 실시 // 414 2) 신자유주의경제 패러다임과 역내경제통합 // 417 3) 신자유주의경제정책의 평가 // 419 3. 20세기 중남미 경제 회고 // 425 Chapter 9. 지역산업 1. 개관 // 429 2. 1차산업 // 430 가. 임업 // 430 나. 수산업 // 432 다. 농업 // 433 1) 동향 // 433 2) 주요 국가별 농업생산 // 435 라. 광업 // 436 3. 2차산업: 제조업 // 438 4. 3차산업: 서비스업 // 440 5, 중남미 산업과 외국인직접투자 // 442 Chapter 10. 지역소비시장 1. 개관 // 445 2. 시장규모와 성장세 /445 가. 개요 // 445 나. 중산층(Emerging Middle Class) // 446 다. 소비 피라미드 바닥계층(the Base of the Pyramid) // 447 3. 구매동력 // 449 가. 경제적 동력 // 449 1) 경제성장과 안정 // 449 2) 빈곤감소와 사회적 계층이동(Social Mobility) // 449 3) 금융접근성 // 450 나. 사회인구적 동력 // 451 1) 이중소득가구(Dual Income Household) // 451 2) 젊은 소비계층 // 451 3) 노인 소비계층 // 452 4) 연결성(Connectivity) // 452 5) 사회규범과 가치관 변화 // 453 다. 지리적 동력 // 454 1) 지리적 단편화(Fragmentation) // 454 2) 도시화(Urbanization) // 455 4. 연결성(Connectivity) //456 5. 소비형태 // 458 가. 소비자 특성(Consumer Profile) // 458 나. 소비자모순과 가치충돌 // 459 1)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모순 // 460 2) 회의주의(Skepticism)와 신뢰모순(Trust Contradiction) // 460 3) 빠르고 안이함과 느리고 복잡함 // 461 4) 수동성과 능동성 // 462 다. 주요국별 소비형태 // 462 1) 브라질 소비시장 // 462 2) 칠레 소비시장 // 463 3) 멕시코 소비시장 // 464 6. 소비시장 접근 // 464 가. 개요 // 464 나. 소비자 우선순위 및 가치관 // 466 1) 핵심적 가치 // 466 가) 점점 강해지는 ‘자신(Me)’에 대한 정체성 // 466 나) 소비여력과 현금선호 // 467 다) 신속함과 편리성 // 467 라) 정직함과 신뢰성 // 468 마) 보건과 안정성 // 468 바) 소비자 주권 // 468 사) 사회적 연결성 // 468 2) 주변적 소비자 가치 // 469 다. 브랜드 세우기 // 469 1) 개요 // 469 2) 중남미 브랜드 구조 // 470 라. 중남미 미디어 형태 및 활용 // 471 1) 미디어 형태 // 471 2) 광고비용 // 474 마. 소매시장 // 475 1) 개요 // 475 2) 소매시장 매력 // 475 3) 소비자 구매 가치관 // 476 4) 소매전략 // 478 Part 00.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