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중남미 이해. 02

저자
기현서
발행사항
성남 : Hexagon(헥사곤), 2023
형태사항
400 p. ; 23 cm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92-40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E208255대출중2024.03.26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2082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4.03.26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중남미에 관한 심층 연구서. 대한무역진흥공사에서 28년간 근무하고 칠레 대사를 역임한 저자가 중남미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사건이나 현상의 배경이 된다고 생각되는 이슈들을 가급적 제한된 공간에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이슈들은 중남미 지역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적 사건과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앞으로의 동향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분석의 틀을 제공해야 한다는 데 초점을 맞춰 선정되었다.

이 책은 크게 환경, 정치, 경제, 사회, 대외관계 등 5개의 부문으로 나뉘어 있다. 환경 부문은 자연, 자원, 문화, 비즈니스 환경 등 4개 이슈를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정치 부문은 정치, 통합, 전쟁 등 3개 이슈, 경제 부문은 경제사, 산업, 소비시장 등 3개 이슈, 사회 부문은 부패, 범죄와 폭력, 사회운동 등 3개 이슈, 대외관계 부문은 미국, 중국, 쿠바, 한국 등 4개 이슈로 총 17개 이슈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Part 4. 부패 1. 부패의 정의 // 019 2. 부패의 범위(Scale), 영역(Sector) 그리고 유형(Method) // 020 3. 부패의 문제점 // 023 가. 사회적 영향 // 024 나. 경제적 영향 // 024 다. 정치적 영향 // 025 라. 안보에 대한 영향 // 026 4. 부패측정과 국제투명성기구(TI) // 027 가. 부패측정 방법 // 027 나. 국제투명성기구 부패측정 // 028 5. 중남미 부패현황 // 029 가. 국제투명성기구(TI) 평가 // 029 중남미 부패인식지수(CPI) · 중남미부패바로미터(GCB)분석 나. 부패의 원인 // 032 정치적 요소 · 경제적 요소 · 문화적 요소 다. 국가별 상황 // 036 1) 아르헨티나 // 036 세관 · 외환통제 · 급격한 정책변화 · 친구간 자본주의 2) 브라질 // 038 정교한 부패 · 복잡하고 독특한 법규체계 · 개인적 인간관계 브라질 방식 · 정당 3) 칠레 // 041 기업형사책임 · 준법감시프로그램증명서 4) 콜롬비아 // 042 마약 및 테러 · 군부와 교류 · 지방정부/사회적 투자 · 준법감시체제 5) 멕시코 // 045 경찰 · 안전/금품강요 · 정부구매 · 정치적 연루 · 복잡한 규정 6) 페루 // 047 변호사와 면책 · 비즈니스 업계의 관용 · 독특한 광업 리스크 인허가가 제한된 산업분야 · 경찰 7) 베네수엘라 // 049 광범위한 국유화 정책 · 외환통제 · 공정가격법 치안위협 · 고급인력 해외유출 라. 부패유형 // 052 공공입찰 조작 · 규제위험 · 세관위험 · 경찰과 공무원의 뇌물강요 · 선물과 환대 로비 자금(Facilitating Payments) · 가족기업 · 독점과 준법감시 위험 · 버블 붕괴 위험 6. 대응방안 // 059 가. 정부의 대응 // 060 1) 행정부 // 060 2) 사법부 // 061 3) 입법부 // 061 4) 국가별 현황 // 062 아르헨티나 · 볼리비아 · 브라질 · 칠레 · 콜롬비아 · 에콰도르 · 멕시코 파라과이 · 페루 우루과이 · 베네수엘라 · 중미국가 나. 기업의 대응 // 078 1) 상황 예시 // 078 2) 통상적 부패유형과 대응방안 // 079 뇌물 · 스피드 모니 · 금품강요 · 종업원 부패행위 3) FCPA 대응방안 // 082 기업특화 중남미 반부패 전략 마련 · 제3자 뇌물행위 관리 · 문화요소 활용 7. 부패척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 085 가. 경제협력개발기구 반부패협정 (Anti-Bribery Convention) // 086 나. 유엔 반부패협정 (U.N. Conventon Against Corruption) // 086 다. 미주 반부패협정 (Inter-American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 // 087 8. 결론 // 087 Chapter 12. 범죄와 폭력 1. 개관 // 091 2. 범죄와 폭력의 정의 // 093 3. 중남미 범죄와 폭력 //094 가. 전체 상황 // 094 나. 국별 상황 // 096 1) 멕시코 // 096 2) 브라질 // 098 3) 콜롬비아 // 101 4) 중미국가 // 103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과테말라 · 베네수엘라 4. 중남미 마약카르텔 // 113 가. 정의 및 구조 // 113 나. 주요 마약 범죄조직 // 114 1) 콜롬비아 // 114 가) 마약 카르텔 등 범죄조직 // 115 ① 1세대(1st Generation) 마약카르텔 // 116 메데인카르텔(Medellin Cartel) · 칼리카르텔(Calí Cartel) ➁ 2세대(2nd Generation) 카르텔 // 118 북부계곡카르텔(Norte de Valle Cartel) · 북부해안카르텔(North Coast Cartel) ③ 3세대(3rd Generation) 카르텔 // 119 클란 데 골포(Clan de Golfo) · 로스 라스트로호스(Los Rastrojos) 나) 좌우파무장단체 // 121 ①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 ➁ 국가해방군(ELN) ③ 콜롬비아통합자위대(AUC) 2) 멕시코 // 125 과달라하라 카르텔(Guadalajara Cartel) · 티후아나 카르텔 후아레스 카르텔(Juárez Cartel) · 걸프 카르텔(Gulf Cartel) 시날로아 카르텔(Sinaloa Cartel) · 소노라 카르텔(Sonora Cartel) 미초아칸 가족 카르텔(The Michoacan Family Cartel) 템플기사단 카르텔(The Knights Templar Cartel) 로스 제타스(Los Zetas) · 벨트란 레이바 카르텔(Beltrán Leyba Cartel) 밀레니오 카르텔(The Milenio Cartel) 신세대 할리스코 카르텔(CJNG: Jalisco New Generation Cartel) 3) 브라질 // 138 붉은 특공대(Comando Vermelho) 수도 제1특공대(PCC: Primeiro Comando da Capital) 4) 기타 // 139 마라 살바투르차(MS-13) · 18번가 갱(18th Street Gang) 5. 멕시코 마약전쟁 // 141 가. 배경 // 141 나. 진행 // 142 1) 펠리페 칼데론(2006~12)과 페냐 니에토(2012~18) 대통령 시기 // 142 2)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AMLO) 대통령(2018~이후) 시기 // 144 다. 평가 // 144 6. 미국의 중남미 마약전쟁 // 145 가.콜롬비아 플랜(Plan Colombia) // 147 나. 메리다 이니셔티브(Mérida Initiative) // 148 7. 범죄와 폭력 그리고 경제 // 150 8. 범죄와 폭력과 외국인투자 // 152 Chapter 13. 사회운동 1. 개관 // 157 2. 사회운동의 정의와 구분 // 159 3. 사회운동의 단계 // 160 4. 중남미 사회운동 //161 가. 신자유주의정책 실시와 사회적 저항(1980~1990년대) // 163 나. 좌파정부 등장과 사회운동(2000년대 이후) // 165 다. 환경론자와 원주민의 저항 // 167 라. 중남미 사회운동과 비정부기구(NGOs) 활동 // 170 마. 국가별 주요 사회운동 동향 // 173 1) 멕시코 사파티스타 자치운동(Zapatista Autonomy Movement) // 174 2) 아르헨티나 1993-2006년 사회운동 특성과 동향 // 176 3) 브라질 토지무소유농촌노동자운동(MST) // 179 4) 에콰도르 파차쿠티크(Pachacutik)와 원주민정당 정치운동 // 182 5) 볼리비아 ‘강탈에 의한 축적’에 대한 저항: 물 전쟁과 가스 전쟁 // 185 6) 페루 대규모 광산개발 프로젝트 사회적 저항 운동 // 188 5. 위기시기의 중남미 사회운동 // 191 가. 2000-02년 위기와 사회운동 // 192 브라질 · 에콰도르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아르헨티나 · 기타 국가 나. 2002-08년 일차산품 붐과 사회운동 // 197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 볼리비아 · 에콰도르 · 베네수엘라 6. 도전 과제 // 203 Part 5. 대외관계 Chapter 14. 미국 1. 개관 // 209 2. 제국주의 시대 // 210 가. 유럽국가들의 경쟁 // 211 나. 미국의 등장 // 213 1) 영토 확대 // 214 가) 루이지애나 취득 // 215 나) 플로리다(Florida) 취득 // 215 다) 멕시코 영토 취득 // 217 ① 텍사스 합병 ➁ 미-멕 전쟁과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라) 쿠바에 눈독 // 219 마) 파나마운하지대(Panama Canal Zone) 지배권 확보 // 220 바) 중미 및 카리브 국가에 대한 간섭 강화 // 221 사) 범미주공동체 구축(The Pan-American Community) // 223 2) 미국의 중남미 정책에 대한 이념적 기반과 외교정책 // 224 가)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 // 225 나) 빅스틱 정책(Big Stick Policy) // 226 다) 선린정책(Good Neighbor Policy) // 227 다. 중남미 국가들의 대응 // 228 1) 볼리바르의 꿈(Bolivarian Dream) // 229 2) 외부세력(External Powers) 활용 // 230 3) 역내주도권 확보와 대응(Rivalry and Subregional Hegemony) // 231 4) 국제법 호소(Doctrines and Diplomacy) // 232 라. 중남미 국가들의 반미정서 태동 // 233 3. 냉전시대 // 234 가. 우방진영 결속과 유대강화 // 234 1) 냉전초기 미국의 중남미 외교 // 235 2) 중남미 독재자(Dictators)들과의 관계강화 // 236 3) 닉슨 중남미 순방과 친구 만들기 // 239 4) 쿠바혁명 발생과 진보동맹(Alliance for Progress) // 240 5) 군부 독재정권 출현과 관계강화 // 243 나. 비 우방진영에 대한 강경정책 실행 // 244 1) 과테말라 침공 // 244 2) 쿠바, 카스트로 그리고 피그만 침공 // 246 3) 도미니카공화국 침공 // 248 4) 칠레 아옌데 정권 전복 // 249 5) 그레나다 침공 // 251 6) 니카라과 혁명과 콘트라 전쟁(The Contra War) // 252 다. 중남미 국가의 대응 // 254 1)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 국가로 체제변환 // 254 2) 반공노선 참여 // 255 3) 제 3의 길 모색 // 256 4. 불확실성의 시기(Decade of Uncertainty) // 257 가. 미국의 경제체제 이식 // 258 1) 새로운 경제의제: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 // 258 중남미 외채위기(Debt Crisis) · 워싱턴 컨센서스(Washington Consensus)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미주자유무역지대(FTAA) 나. 불법 마약유통과 이주 // 262 1) 불법마약유통과 마약전쟁 // 263 가) 불법마약유통 // 263 나) 마약과의 전쟁(War on Drugs) // 264 차단 작전(Operation Intercept) · 대의명분 작전(Operation Just Cause) 콜롬비아계획(Plan Colombia) · 메리다 이니셔티브(Mérida Initiative) 온두라스 작전(Operations in Honduras) · 살충제 공중 살포(Aerial herbicide application) 2) 불법이주 // 268 미국의 중남미인 이민정책 · 멕시코인 이주 · 쿠바인 이주 · 중미국가인 이주 다. 중남미 국가의 대응 // 272 무역다변화를 통한 간섭 최소화 · 미국과 협력 강화 · 역내 자강정책 · 외연확장 5. 테러와의 전쟁(The War on Terror) 시기 // 278 가. 미국의 중남미 정책 // 280 이민개혁 · 미국식 중남미 자유무역 · 불법마약유통 나. 중남미 국가의 대응 // 285 1) 중남미 상황 // 285 2) 핑크 타이드(The Pink Tide)와 대미관계 // 287 3) 외연확장 // 288 유럽 · 일본 · 중국 Chapter 15. 중국 1. 시대별 구분 // 293 가. 인민교류단계(1949-69년) // 293 나. 외교관계 수립단계(1970-77년) // 294 다. 평등과 호혜, 협력개발단계(1978-92년) // 295 라.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단계(1993-2000년) // 295 마. 약진단계(2000년 이후) // 296 2. 21세기 중국과 중남미 관계 // 298 가. 경제관계 // 298 1) 중남미에 대한 경제적 이해관계 // 299 2) 중남미의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이해관계 // 300 나. 무역관계 // 301 다. 투자관계 // 303 라. 금융관계 // 308 마. 도전과제 // 309 3. 주요국별 경제협력 사례 // 310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 콜롬비아 · 페루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4. 중국과 라틴아메리카·카리브 국가공동체(CELAC) // 324 가. 라틴아메리카·카리브 국가공동체(CELAC) // 324 나. 중국과 관계강화 // 325 다. 2015~19년 협력 프로그램 // 326 라. 중남미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 327 5. 중국의 약진과 미국관계 // 329 Chapter 16. 쿠바와 미국 1. 개관 // 333 2. 역사적 유산 // 334 3. 카스트로 정권과 미국 관계(1959~현재) // 336 가. 쿠바 혁명 // 336 나. 혁명이후 미-쿠바 관계 // 338 아이젠하워 행정부 초기 무역제제와 외교단절 · 케네디 행정부 피그만 침공과 통상금지 조치 쿠바 미사일 위기(Cuban Missile Crisis) · 여행금지 강화 쿠바민주화법(Cuban Democracy Act) · 헬름스-버튼법(Helms-Burton Act) 오바마 행정부의 재제완화 · 외교관계 개설 다. 쿠바 정치와 경제 // 345 1) 바티스타 정권 시기 // 346 2) 피델 카스트로 시기 // 348 쿠바 혁명과 공산주의 국가 건설 · 특별시기(Special Period) · 핑크 타이드(Pink Tide) 시기 3) 라울 카스트로(Raúl Castro) 시기 // 353 4. 라울 카스트로 정권의 개혁개방정책 // 356 가. 쿠바경제의 특성과 한계 // 356 나. 라울 카스트로의 경제개혁조치 // 357 5. 카스트로 사망과 대미관계 // 358 Chapter 17. 한국 1. 인적교류 // 363 가. 재외동포 현황 // 363 나. 한인 중남미 이민 역사 // 365 이민 시기 구분 · 멕시코 이민 · 브라질 이민 · 아르헨티나 이민 · 파라과이 이민 2. 무역관계 // 379 가. 한국과 중남미 무역 // 379 나. 자유무역협정 // 381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 한-페루 자유무역협정 한-콜롬비아 자유무역협정 · 한-중미 자유무역협정 3. 투자 관계 // 386 가. 한국과 중남미 투자 // 386 나. 주요 국가별 현황 // 387 Part 00.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