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 연구보고서 2014-07A research on regional cooperation strategy for environmental disaster response in northeast Asia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방안 연구
- 저자
- 추장민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 형태사항
- 241 p. 도표 그래프 25 cm
- 총서사항
- KEI 연구보고서 2014-07
- 원표제
- A research on regional cooperation strategy for environmental disaster response in northeast Asia
- 서지주기
- 참고문헌(p.223-233)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3451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34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 필요성
나. 연구의 목적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가. 주요 연구 내용
나.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다. 연구 방법
제2장 · 환경재난 발생 추이 및 주요 특징
1. 환경재난의 개념 정의 및 범위 설정
가. 환경재난의 개념 정의
나. 환경재난의 범위 설정
2. 환경재난 발생 여건의 변화와 환경재난 발생 추이
가. 환경재난 발생 여건의 변화
나. 최근 20년간 환경재난 발생 변화 추이
3. 최근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분석 및 유형화
가. 최근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나. 환경재난의 유형화
제3장 · 동북아 지역의 환경재난 실태
1. 동북아 국가별 환경재난 실태
가. 한국
나. 중국
다. 일본
라. 몽골
마. 북한
바. 러시아
2. 동북아 지역 차원의 환경재난 실태 분석
가. 동북아 환경재난 발생 현황
나. 동북아 지역 차원의 주요 환경재난
3.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의 주요 특징 분석 및 유형화
가.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주요 추이 및 특징
나.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특징에 따른 유형화
제4장 · 동북아 각국의 환경재난 대응 국내 정책 및 지역협력
1. 동북아 각국의 국내 환경재난 대응 정책 및 시스템 분석
가. 한국의 환경재난 대응 정책 및 시스템
나. 중국
다. 일본
2.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국가간 협력 현황 분석
가.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나. 한·중·일 재난관리기관장회의
다. 한·중·일 원자력안전 최고규제자회의(Top Regulators' Meeting on Nuclear Safety, TRM)
라. 지진재해 경감 및 화산재해 대응: 한·중·일 지진협력청장회의
마. 조류인플루엔자 공동 대응: 한·중·일 농업장관회담
바. 해양사고 대응 국가간 공동대응 시스템: NOWPAP MERRAC
3. 환경재난 대응 역내 협력의 성과 및 한계 분석
제5장 · 유럽 지역 환경재난 대응 협력 사례
1. 유럽 지역 환경재난 실태
가. 자연재난
나. 사회적 재난
2. 유럽 지역 환경재난 대응 현황
가. 재난 예방
나. 재난 대응
다. 분야별 재난 유형별 대응 체계
3. 유럽 지역 환경재난 협력 시사점 도출
제6장 ·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전략
1.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잠재적 위험 요인
가. 분야별 환경재난 위험 요인
나. 대기 분야 환경재난 위험성 및 영향 평가
2.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의 중요성 평가
가. 지역협력 중요성 평가 기준 및 평가 속성
나. 지역협력 중요성 평가
3.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우선 분야
4.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의 비전과 목표
가. 지역협력 추진 여건(SWOT) 분석
나. 지역협력의 비전과 목표 및 기본 방향
5. 동북아 환경재난 대응 지역협력 추진 전략과 주요 사업
가. 통합 위험 관리 협력 시스템 구축 방안
나. 환경재난별 협력 강화 방안
다. 국내의 협력대책 보완
제7장 ·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