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DI 정책연구시리즈 2012-15Impact of baby boomers' transition on labor markets in Korea

베이비붐 세대 이행기의 노동시장 변화

저자
황수경
발행사항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2012
형태사항
118 p. 도표 24cm
총서사항
KDI 정책연구시리즈 2012-15
서지주기
참고문헌 (p.109-114)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229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229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제 1 장 머리말 1. 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문제인가? 2. ‘은퇴’(retirement)와 ‘이행’(transition)의 개념 3. 연구 범위와 보고서의 구성 제 2 장 2012∼2030년의 노동공급 전망 제1절 인구 규모 및 구조의 변화 제2절 경제활동참가율 및 노동력 규모 전망 1. 경제활동참가율의 추세적 전망 2. 미시모형에 의한 노동공급 전망 가. 전망 모형 나. 참가율 결정모형의 추정 결과 다. 전망 절차 라. 전망 결과 제3절 노동력 구조 변화의 특징과 정책방향 1. 노동력 구조의 급속한 고령화 2. 15-64세 경제활동참가율과 국제비교 3. 연령대별 노동력의 유출입 구조 제 3 장 베이비붐 세대와 출생코호트별 고용 변동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베이비붐 세대의 노동시장 지위 제3절 코호트별 고용특성과 세대 간 이동 1. 산업 2. 직업 3. 종사상 지위 제4절 소결 제 4 장 중고령자의 취업이력과 은퇴 패턴 제1절 들어가는 말 제2절 출생코호트별 취업이력 1. KLIPS 생애직업이력 자료 2. 노동시장 진입연령 3. 출생코호트별 직업생애 4. 커리어 직장 제3절 퇴직에서 은퇴로의 이행 패턴 1. 점진적 은퇴와 생애 주된 일자리 2. 주된 일자리 퇴직 후의 은퇴패턴 가.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 나. 퇴직 이후의 재취업 실태 다. 45세 이후의 취업상태 변화 3. 주된 일자리 미보유자의 은퇴 제4절 소결 제 5 장 요약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