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KEI-a 연구보고서 11-41-012011-23National assessment on sea 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Ⅰ
국가 해수면 상승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Ⅰ
- 저자
- 조광우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 형태사항
- 347p. 채색삽도 채색지도 25cm
- 총서사항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KEI-a 연구보고서 11-41-01 2011-23
- 서지주기
- 참고문헌 (p.317-344)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140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140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내용
제2장 우리나라 해안의 자연 환경
1. 우리나라의 해안 지형
가. 해안 지형 현황
나. 해역별 지형 특성
2. 우리나라의 하구역 현황
제3장 · 우리나라 해안의 사회·경제 환경
1. 연안지역 면적 및 인구 분포
2. 토지피복 현황
3. 공공시설
4. 기반시설(도로 및 교통 관련 시설)
5. 산업단지 및 발전시설
6. 관광시설 및 단지
7. 항만 및 어항
8. 수산업
제4장 · 기후변화 및 해수면 상승
1. 해수면 변화 기구
가. 열팽창(thermal expansion)
나. 해빙(Ice melting)
2. 고기후학에 의한 해수면 변동
3. 우리나라 해수면 변화 현황
가. 우리나라 절대 해수면 변화
나. 우리나라 상대 해수면 변화
4. 미래 해수면 시나리오
가. IPCC AR4
나. 준경험적 방법에 의한 해수면 예측
다. 기후변화와 태풍
5. 해수면 상승 영향
제5장 · 우리나라 해안의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1. 영향평가 방법론
가. 물리적 영향평가 방법론
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 방법론
2. 침수지역 면적 및 인구 분포
3. 침수지역 토지피복
4. 침수지역 주거지
가. 침수지역 주거지 현황
나. 침수예상지역 주택가격 산정
다. 침수예상지역 개별 및 공동 주택 자산가치 산정
5. 침수지역 공공시설
6. 항만 가. 항만 분야 영향평가 방법론
나. 항만 계류시설의 영향
다. 항만 외곽시설의 영향
라. 항만시설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 검토의 시사점
7. 하구역
가. 해안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나. 연약지반에 미치는 영향
다. 하구역 분류 및 영향
제6장 결론
부록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