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보이는 손 II: The Visible Hand
- 저자
- Chandler, Alfred Dupont | 김두얼 | 신해경 | 임효정
- 발행사항
- 서울 :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 형태사항
- 1336p. ; 19cm
- 서지주기
- 참고문헌(p.1193-1252)과 색인수록
- 주제명
- 미국 경제[美國經濟]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583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583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미국의 경영사 연구는 챈들러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진다고 이야기되곤 한다. 그의 방법론을 따르건 따르지 않건, 혹은 그의 가설이나 명제를 수용하건 하지 않건, 챈들러 이후 모든 경영사 연구는 ≪보이는 손≫을 거론하지 않고서는 논의를 전개할 수 없게 되었다. 미국 경영사의 주요 사건과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포괄적 이론의 틀을 제시한다.
이 책은 두 권으로 나누어 출간했으며, 그중 2권은 제4부에서 제5부, 결론, 부록을 수록했다.
미국에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근대적 대기업(modern business enterprise)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사건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는 대기업이 등장하기 전, 즉 대략 1790년부터 1840년까지 미국의 경제 상황과 기업 활동을 개괄하고 있다. 제2부는 철도 기업의 발전을 다룬다. 제3부에서는 철도 및 전신으로 구축된 전국적 통합 시장이 대량 유통과 대량 생산, 즉 대기업에 의한 유통과 생산을 가져오는 과정을 보여 준다.
제4부에서는 대량 유통과 대량 생산을 통합해 수행하는 복수사업단위 기업(multiunit business enterprise)이 등장하며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대기업이 성립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마지막 제5부는 근대적 대기업의 내부 조직을 다룬다.
이 책의 번역이 우리나라 학계나 일반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점을 몇 가지 열거한다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기업이라는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다. 지난 20∼30년 동안 IT 산업의 등장과 같은 환경 변화로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챈들러가 이야기한 대기업의 시대는 이제 막을 내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새로운 형태의 기업 조직은 맹아 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 전 세계 경제의 중심은 여전히 대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담고 있는 이론적 틀과 풍부한 사례들은 대기업, 나아가 오늘날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많은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우리나라 경영사 연구의 발전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경영사 관련 책들이나 논문들 중 적지 않은 것이 대기업의 성장과 진화 과정에 대한 깊은 분석까지 나아가지 못한 채, 연혁을 나열하거나 몇몇 에피소드에 근거해서 성과만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챈들러는 대기업이라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했으며,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경영사 연구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전범을 제시한다.
셋째, 제도경제학적 분석의 확산이다. 경제학계, 나아가 사회과학 일반에서는 시장과 제도 간의 대체 관계가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틀이라는 관점에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적 접근이 새로운 분석 방식으로 대두했다. 이 책도 그러한 새로운 방식으로 대기업이라는 생산 제도의 등장을 설명해 신제도주의적 방법의 기초를 닦았다.
마지막으로 미국 사회와 경제의 변천에 대한 이해다. 우리나라에는 그동안 미국의 역사를 소개하는 많은 저서와 역서가 발간되었다. 하지만 미국 경제가 성장하고 변화해 온 큰 줄기를 보여 주는 저작은 쉽게 만나기 어려웠다. 이 책이 미국 경제사에 대한 본격적인 이해, 조금이나마 더 균형 잡힌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책은 두 권으로 나누어 출간했으며, 그중 2권은 제4부에서 제5부, 결론, 부록을 수록했다.
미국에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근대적 대기업(modern business enterprise)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사건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는 대기업이 등장하기 전, 즉 대략 1790년부터 1840년까지 미국의 경제 상황과 기업 활동을 개괄하고 있다. 제2부는 철도 기업의 발전을 다룬다. 제3부에서는 철도 및 전신으로 구축된 전국적 통합 시장이 대량 유통과 대량 생산, 즉 대기업에 의한 유통과 생산을 가져오는 과정을 보여 준다.
제4부에서는 대량 유통과 대량 생산을 통합해 수행하는 복수사업단위 기업(multiunit business enterprise)이 등장하며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대기업이 성립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마지막 제5부는 근대적 대기업의 내부 조직을 다룬다.
이 책의 번역이 우리나라 학계나 일반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점을 몇 가지 열거한다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기업이라는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다. 지난 20∼30년 동안 IT 산업의 등장과 같은 환경 변화로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챈들러가 이야기한 대기업의 시대는 이제 막을 내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새로운 형태의 기업 조직은 맹아 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 전 세계 경제의 중심은 여전히 대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담고 있는 이론적 틀과 풍부한 사례들은 대기업, 나아가 오늘날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많은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우리나라 경영사 연구의 발전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경영사 관련 책들이나 논문들 중 적지 않은 것이 대기업의 성장과 진화 과정에 대한 깊은 분석까지 나아가지 못한 채, 연혁을 나열하거나 몇몇 에피소드에 근거해서 성과만을 제시하는 데 그치고 있다. 챈들러는 대기업이라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했으며,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경영사 연구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전범을 제시한다.
셋째, 제도경제학적 분석의 확산이다. 경제학계, 나아가 사회과학 일반에서는 시장과 제도 간의 대체 관계가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틀이라는 관점에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적 접근이 새로운 분석 방식으로 대두했다. 이 책도 그러한 새로운 방식으로 대기업이라는 생산 제도의 등장을 설명해 신제도주의적 방법의 기초를 닦았다.
마지막으로 미국 사회와 경제의 변천에 대한 이해다. 우리나라에는 그동안 미국의 역사를 소개하는 많은 저서와 역서가 발간되었다. 하지만 미국 경제가 성장하고 변화해 온 큰 줄기를 보여 주는 저작은 쉽게 만나기 어려웠다. 이 책이 미국 경제사에 대한 본격적인 이해, 조금이나마 더 균형 잡힌 이해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제4부 대량 생산과 대량 유통의 통합 ·······673
제9장 근대적 산업회사의 도래 ··········678
통합의 이유들 ················678
연속 공정 기술 이용자에 의한 통합 ·······682
부패성 제품 가공업체들에 의한 통합 ······706
전문 판매 서비스가 필요한 기계 제조업체들에 의한 통합 ···········713
추종자들 ···················737
제10장 합병을 통한 통합 ·············745
결합과 통합 ·················745
1880년대의 합병 ···············756
1890년부터 1903년까지의 합병 ·········785
합병의 성공과 실패 ··············798
제11장 통합 완료 ················814
개요: 1900∼1917 ···············814
수직결합에 의한 성장?현황 ··········821
수직결합에 의한 성장?분석 ··········860
규모와 집중의 결정 요인 ············878
제5부 경영과 근대적 대기업의 성장 ·······889
제12장 중간 관리층: 기능과 구조 ·········895
기업가 기업 ·················895
아메리칸 토바코: 포장 제품의 대량 생산과 유통 관리 ···············897
아머: 부패성 제품의 생산과 유통 관리 ······918
싱어와 매코믹: 기계의 제조와 판매 ·······943
미국 산업에서 중간 관리층의 등장 ·······962
제13장 최고 경영층: 기능과 구조 ·········971
경영자 기업 ·················971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 ············976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 ············996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러버 컴퍼니 ·······1013
E. I. 듀폰 드 느무아 파우더 컴퍼니 ······1028
증가하는 경영자 기업의 우위 ·········1049
제14장 근대적 대기업의 성숙 ··········1059
구조의 완성 ·················1061
경영의 전문화 ················1077
전간기(戰間期) 근대적 대기업의 성장 ·····1089
1941년 이후 근대적 대기업 ··········1106
근대적 대기업의 지배 ············1118
결론: 미국 산업의 경영 혁명 ··········1121
제도적 성장의 일반적 유형들 ·········1123
경영자의 우위 ················1135
미국: 경영자 자본주의의 온상 ·········1151
부록 A. ····················1161
부록 B. ····················1190
참고문헌 ···················1193
찾아보기 ···················1253
해설 ·····················1317
지은이에 대해 ·················1333
옮긴이에 대해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