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교양도서

과학기술 정책연구

Research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발행사항
대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형태사항
281 p. : 삽화, 도표 ; 23 cm
총서사항
2017 총서 ; 02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G10141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1014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 저자서문 ]
2017년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책사(史)에서 뜻깊은 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가차원에서 과학기술정책이 본격화된 지 50년이 되는 해이며, 현장의 과학기술문제를 정책 측면에서 연구하기 위한 정책전문 연구기관이 30 년 전에 설립되고, 학문공동체의 구심체인 기술경영경제학회와 한국기술혁신학회가 각각 1992년과 1997년에 설립되어 20년 이상이 경과하였기 때문입니다.
지난 50여년동안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실무적·학문적으로 많은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왔지만, 학문 공동체가 과학기술정책 연구 또는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는 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2017년에 충남대 국가정책대학원은 창립 20주년을 맞이한 한국기술혁신학회와 공동으로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2013년부터 충남대학교는 대학원 과정에 과학기술정책 전공을 개설하였지만, 참여교수와 원생 모두에게 ‘과학기술정책학’이 무엇이며 어떤 것을 가르쳐야 하는가의 문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의 정의와 연구범위를 우리 스스로가 논의하고 발전시키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이는 다시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 정책 연구 집단인 한국기술혁신학회와의 협업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차적인 연구결과로서, 참여 저자들은 과학기술정책학을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제반 현상을 연구·분석함으로써, (1) 과학기술 자체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2)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와 공공 부문의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지향적인 학문’으로 정의하였습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 (research scope)를 (1) 과학기술 정책과정, (2) 과학기술 공공관리, (3) 연구관리, (4) 기술혁신의 4대 부분으로 제안하였습니다.
한편, 인류문명의 역사는 과학기술 발전의 역사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입니다. 옛날의 철기부터 지금의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과학기술 제품들은 우리들의 삶의 형태와 사회구조를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바꾸어 놓곤 하였습니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효율적인 발전과 합리적인 활용은 국가사회 차원에서는 물론 시민 개개인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과학기술정책의 목적은 ‘과학발전을 위한 정책’(policy for science) 관점과 ‘정책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science for policy)의 관점이 적절히 조화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과학기술 발전이 지향하는 최종 목적은 ‘더 행복한 사람’과 ‘더 좋은 세상’(A Better World for Happier People)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학기술정책의 이상은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충남대학교는 국가정책대학원에 과학기술정책 전공의 석·박사 과정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충남대학교의 과학기술정책 전공은 (1) 국가적 문제의 과학기술적 해결을 추구 하는 <문제 해결형 교육과정>, (2) 인문·사회계에는 과학기술의 실제적인 지식을, 이공계에는 정책·공공관리의 절차적인 지식을 교육하는 <융·복합형 정책전문가 양성>, (3)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여 정부부처?연구관리기관?연구 주체?산업체의 인적교류 및 학문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네트워크형 교육과 연구>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의 과학기술정책 전공에 참여하는 교수와 원생들의 학술 논문을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에 맞추어 재구성한 것입니다. 먼저 이찬구·오현정·김은미(2018)는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다음으로 손주연 외(2017)와 장문영·이찬구(2017)는 과학기술 정책과정에, 김영준 외 (2016)와 염명배 외(2017)는 과학기술 공공관리에 해당하는 논문들입니다. 이어 추완호·박수경(2017)과 한정민·이영덕 외(2017)는 연구관리 측면을 다룬 논문입니다.
여기에 실린 논문들은 여러 면에서 더 많은 논의와 발전이 필요하지만, 과학기술정책학의 이상을 대학원 교육에서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작은 성과들입니다. 이 책이 출발점이 되어 앞으로 더 좋고 더 많은 연구 실적들이 발간되어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적 발전과 우리사회의 정책문제를 해결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특히,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는 향후 여러 동학과 후학들의 치열한 논쟁과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 과학기술정책학이 독자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책의 발간에는 많은 분들의 도움과 성원이 있었습니다. 우선 귀한 논문을 책에 실을 수 있게 허락하여 주신 저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구상부터 편집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항상 성심을 다해 준, 김은미 교수와 오현정 선생에게 특별히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 1 장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정체성 1.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 :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학문 정체성의 이론적 논의 Ⅲ. 과학기술정책학의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 검토 Ⅳ. 과학기술정책학의 정의 및 연구범위의 ‘새로운’ 제안 Ⅴ. 맺음말 제 2 장 과학기술 정책과정 2 남북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전략적 접근 : 향후 추진전략과 협력과제 도출을 중심으로 Ⅰ. 문제제기 Ⅱ. 남북과학기술협력 개요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시사점 및 결론 3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분석틀 설계 Ⅲ. 연구회제도의 정부별 정책변동 분석 Ⅳ. 결론 … 128 제 3 장 과학기술 공공관리 4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경향 분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5 Eco-Efficiency of Government Policy and Exports in the Bioenergy Technology Marke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Methodology Ⅲ. Data and Empirical Analysi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s 제 4 장 연구관리 6 국방연구개발 결과물의 기술이전ㆍ사업화 성과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분석의 틀 Ⅳ. 실증 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7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연구개발성과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영향요인 분석 Ⅰ. 서론 Ⅱ. 기술사업화에 대한 기존 연구 Ⅲ. 연구모형의 설정과 측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 시사점과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