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한국 제4차 산업혁명 연구: 기술·경제·사회·정책 혁신의 통합적 접근
- 발행사항
- 대전 : 충남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임마누엘, 2018
- 형태사항
- 329 p. : 삽화, 도표 ; 23 cm
- 총서사항
- 한국기술혁신학회 창립 20주년 기획연구 ; 2
- 서지주기
-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646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646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한국의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는 혁신의 전환과 통합 관점에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해석하고 분석하여 국가사회의 미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제4차 산업혁명을 광의의 관점에서 ‘물리계, 디지털계, 바이오계의 과학기술혁신과 생산방식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초연결성과 초지능화를 지향하는 혁명적 변화와 이로 인해 인류의 생활방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사회, 정치 (정책) 시스템의 광범위한 변화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석하고 처방하기 위한 분석틀을 기술·경제·사회·정책 혁신의 ‘통합모형’ (integrated innovation model) 으로 설계하고, 각 영문의 첫 자를 채택하여 약칭으로 <TESP통합혁신 모형 (TESP Innovation Model) >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제4차 산업혁명을 광의의 관점에서 ‘물리계, 디지털계, 바이오계의 과학기술혁신과 생산방식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초연결성과 초지능화를 지향하는 혁명적 변화와 이로 인해 인류의 생활방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제, 사회, 정치 (정책) 시스템의 광범위한 변화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석하고 처방하기 위한 분석틀을 기술·경제·사회·정책 혁신의 ‘통합모형’ (integrated innovation model) 으로 설계하고, 각 영문의 첫 자를 채택하여 약칭으로 <TESP통합혁신 모형 (TESP Innovation Model) >으로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제4차 산업혁명의 통합적 접근
제2장 기술혁신 관점의 제4차 산업혁명
제3장 경제혁신 관점의 제4차 산업혁명
제4장 사회혁신 관점의 제4차 산업혁명
제5장 제4차 산업혁명과 정책혁신
제6장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통합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