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金融機関のための気候変動リスク管理]
금융기관과 ESG 리스크 관리: 기후변화 리스크를 중심으로
- 발행사항
- [서울] : 이음연구소, 2022
- 형태사항
- 375p. : 도표 ; 23cm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E20798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E2079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책 소개
▶ 기후변화 리스크 관련 논의 중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는 부분이 금융 및 금융기관의 역할이다 금융기관은 금융중개기능을 통해 기업 및 조직의 자금 및 자본조달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주식 보유를 통한 거버넌스기능 발휘 등 경제 전반에 폭넓은 영향력을 미친다. 금융기관이 경제 전반의 기후변화리스크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기대 또한 큰 상황이다.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서는 [최신 논의 동향]을 소개하는데 특별히 신경을 썼다. 한편으로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에는 쉽게 변경할 수 없는 [원칙]도 존재한다.금융기관이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제정비를 추진함에 있어 흔들리지 않는 [원리 원칙]을 확립하는데 본서가 일조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서는 [최신 논의 동향]을 소개하는데 특별히 신경을 썼다. 한편으로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에는 쉽게 변경할 수 없는 [원칙]도 존재한다.금융기관이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를 위한 체제정비를 추진함에 있어 흔들리지 않는 [원리 원칙]을 확립하는데 본서가 일조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목차
1. 기후변화 리스크와 대응
들어가기
제1장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리스크
제2장 국제연합의 책임원칙과 ESG시장
제3장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제4장 유럽 내 동향과 EU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
제5장 녹색금융 협의체(NGFS)
2. 금융기관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제6장 금융기관의리스크 관리 어프로치
제7장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실무
제8장 기후변화 리스크 시나리오 분석
제9장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총괄과 업태별 대응 방향성
기후변화 리스크 관련 용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