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469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469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구성 및 자료
가. 구성
나. 자료
제2장 북한 산업정책의 변천
1. 대외관계와 발전전략이 산업정책에 갖는 함의
가. 3대 노선
나. 선군경제 노선과 경제-핵 병진 노선
다. 5개년 발전전략
2. 김정은 집권 전후 산업정책
가. 김정은 시대 북한 산업정책 개관
나. 김정은 시대 북한 산업정책 특징
제3장 북한의 수입구조 변화와 산업정책
1. 수입과 산업정책
2. 수입의 변동성 분석을 통해 본 산업 및 가계 수요의 변화
가. 김정은 집권 전후 산업별 변동성 분석
나. 기술수준별 수입 변동성
다. 사용목적별 수입 변동성
라. 사용목적별ㆍ기술수준별 수입 변동성
마. 사용목적별ㆍ산업별 구성을 통해 본 북한산업의 변화
3. 소결
제4장 북한의 수출구조 변화와 산업정책, 대북제재
1. 수출과 산업정책
2. 수출의 변동성 분석을 통해 본 산업 및 무역 환경의 변화
가. 김정은 집권 전후 산업별 변동성 분석
나. 기술수준별 수출 변동성
다. 사용목적별 수출 변동성
라. 사용목적별ㆍ기술수준별 수출 변동성
마. 사용목적별ㆍ산업별 구성을 통해 본 북한산업의 변화
3. 해외 사례분석: 교역환경 변화와 산업ㆍ무역정책 변화
가. 각국이 직면한 경제 문제
나. 경제위기에 대응한 산업 및 무역정책 변화
다. 북한에 주는 시사점
4.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칠 영향: UNSCR 2321호와 2371호
5. 소결
제5장 결론: 북한경제와 산업정책, 제재, 남북경협
1. 수출입 통계 분석을 통해 본 북한경제
2. 김정은 집권 이후 산업정책의 성과에 대한 평가
3. 대북제재가 북한의 수입에 미칠 영향: UNSCR 2321호와 2371호
4. 북한경제의 회복 가능성과 남북경협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