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KEI-a 연구보고서 2010-19
저소득계층의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Ⅰ
- 단체저자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발행사항
- 서울 한국환경정책연구원 2010
- 형태사항
- 167p. 25cm
- 총서사항
- KEI-a 연구보고서 2010-19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자료실 | P420738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P420738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가.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나.주요연구내용
다.연구방법
라.연구 대상 지역
제2장 기후변화 영향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1.기후변화 전망 및 영향
가.지구기후변화 전망 및 영향
나.한반도의 기후변화 전망 및 영향
2.기후변화 영향과 사뢰경제적 취약계층
가.퐁수에 피해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나.폭염에 영향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다.에너지 사용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제3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지표 개발
1.기후변화 적응능력의 정의
가.기후변화 적응의 정의
나.기후변화 적응능력의 개념 정의
2.기후변화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평가방법론
가.기후변화 적응능력의 주요결정요소 설정
나.가구(개인)차원의 기후변화 영향과 적응능력의 범주화
다.가구(개인)적응능력과 지역사회 적응능력의 복합평가
라.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통한 적응능력 통합평가
3.지역사회와 가구(개인)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지표 개발
제4장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결과 및 특성분석
1.지역사회(동)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결과 및 특성분석
가.자료의 수집
나.평가방법
다.연산결과
2.가구(개인)의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결과 및 특성분석
가.평가방법
나.연산결과
다.주성분 분석
제5장 저소득계층의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정책방안
1.저소득계층 기후변화 적응역량의 정책적 시사점
가.지역사회 적응역량 실태의 정책적 시사점
나.가구(개인)의 적응역량 실태의 정책적 시사점
2.국내외 기후변화 적응정책 사례 분석
가.주요국가의 정책사례 분석
나.우리나라의 정책사례 분석
다.국내외 관련정책 평가
3저소득계층 기후변화 적응능력 평가에 근거한 정책수요 분석
가.기후변화영향 지표 및 대리변수 상호비교를 통한 정책수요 분석
나.민감도 지표 및 대리변수 상호비교를 통한 정책수요 분석
다.적응능력 지표 및 대리변수 상호비교를 통한 정책수요 분석
4.저소득계층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방안
가.추진전략
나.영역별 정책 및 사업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1) 가구(개인)으 조사 조사표
보록2) 저소득계층의 인구집단별 비교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