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KLRI 글로벌법제연구센터 법제와 정책 연구KLRI 녹색성장 연구 11-19-4-3A comparative regulatory study on action points programs for carbon emission reduction in Korea and Japan: Standard for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Eco-Action points (Japan) Ver.1.0

(번역 자료집Ⅱ)탄소배출감축행동점수제도에 있어서의 한일간의 법제상의 비교연구: 일본 에코액션포인트 등록 및 승인기준 Ver.1.0

저자
이유봉
발행사항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12
형태사항
131p. 삽도 25cm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P42126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P4212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목차

1. 들어가며
1.1 기준의 위상
1.2 가이드라인 제정시 고려사항
1.3 가이드라인의 기본 구성

2. 용어 해설

3. 에코액션대상 영역의 기본원칙
3.1 에코액션의 대상 영역
3.2 에코액션 기본 원칙
3.2.1 온난화대책 영역의 기본 원칙
3.2.2 폐기물 대책ㆍ3R영역의 기본원칙과 고려 사항
3.2.3 생물다양성ㆍ자연보호 영역(시행)의 기본원칙과 고려 사항
3.2.4 공해대책ㆍ화학물 관리영역(시행)의 기본 원칙

4. 에코액션 대상의 승인기준
4.1 에코액션의 범주와 대상액션
4.2 구체적 에코액션 대상의 승인기준
4.2.1「공통」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2「음식」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3「주거」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4「의복」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5「교통ㆍ통신」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6「교육」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7「교양ㆍ오락」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8「자산운용」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4.2.9「기타」항목의 에코액션 승인기준

5. 특수한 사례의 검토
5.1 탄소상쇄(offset)의 검토 방향
5.2 환경배려형 시설 이용 등에 대한 검토방향
5.3 환경배려형 설비 도입 사업자가 생산한 상품을 구입한 경우의 검토방향
5.4 복수 영역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에코액션에 대한 검토방향
5.5 복수영역에서 상충관계에 있는 에코액션에 대한 검토방향

6. 신청ㆍ승인ㆍ포인트 발행의 절차 및 규칙
6.1 신청절차
6.2 등록승인 절차
6.3 에코액션포인트에 관한 유의사항

7.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