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보고서(전자자료)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카테고리
국내자료
단체저자
KIEP
발행기관
KIEP
발행년월
2024.07
페이지수
14p
URL
요약
[탄소중립 이행과 에너지 전환]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와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추진으로 에너지안보에 대한 개념이 변화하고 있으며, 주요국들은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및 경제구조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관련 정책 및 대외협력을 추진하고 있음. [주요 쟁점]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대응에서 주요 쟁점으로 △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 핵심광물 공급망, △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위한 지원으로 분석하였음. [국제협력] 분석된 주요 쟁점을 토대로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 차원의 국제협력으로 △ 핵심공급망 확보, △ 신에너지 기술혁신 및 국제표준 수립, △ 지속가능 투자 및 개도국 지원 확대가 있으며, 다자차원의 협력이 인도ㆍ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G20,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청정에너지장관회의(CEM) 등에서 모색되고 있음. [탄소중립을 고려한 에너지안보 대응]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에너지안보 강화노력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국내적인 노력 이외에도 국제협력은 장기적으로 국내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바탕이 될 수 있음. [정책 제언]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대외협력 강화, △ 신에너지 기술 혁신 및 국제표준 수립 노력 강화, △ 청정에너지 투자 촉진과 개도국 지원 확대를 정책 과제로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