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에너지수요관리체계 확립 방안
기본연구보고서

에너지수요관리체계 확립 방안

  • 발행일2001.12.31
  • 저자김종덕, 외저.
  • 총서사항KEEI 기본연구보고서 ;;2001-12
  • 조회수12,687

요약

에너지(전력, 가스, 열)산업의 구조개편과 규제완화는 에너지수요관리 체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의 에너지 공급사가 자체 예산으로 시행하던 수요관리 사업이 향후에는 전력 및 가스사용에 대한 부담금에 의해 조성된 기금으로 시행될 것이다. 따라서 기존 수요관리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에너지 소비형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에너지소비에 영향을 주는 지표를 설정하고 주요 지표관리를 위한 D/B구축방안을 도출하였다. 해외의 수요관리D/B에 대한 조사를 통해 수요관리관련 통계 및 정보시스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에너지정책수립 및 추진에 필요한 양질의 정보전달체계방안을 강구하였다.
또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관련한 수요관리사업에 대한 사전·사후평가가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외의 여러 가지 분석 tool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고 건물 부문에는 특별히 활용 가능한 tool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국가경제와 환경의 균형발전을 위한 에너지수요관리 추진 주체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하였으며 추진체계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 대응방안이나 에너지이용효율화 시책 및 이의 평가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이에 요구되는 자료들 또한 여러 가지이다. 그러므로 개발의 초기부터 완벽한 DB를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에 필요이상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의 관련 DB 포맷을 바탕으로 하되 우리의 현실적으로 가능한 자료들을 기본적으로 우선 취합한 다음, 정책의 개발이나 분석 및 평가에 요구되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관련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향후 IEA와의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 교류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수요관리관련 D/B 구축은 IEA의 INDEEP의 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Input data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의 요청에 맞는 Output format을 설계하고 INDEEP Program을 운영할 수 있는 기관이 지정되어야 한다.

수요관리사업의 경제성평가는 사전·사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므로 평가기관의 전문성이 요구될 뿐만이 아니라 평가를 위한 Tool을 분야별로 선정해야 한다. 경제성평가기법은 매우 다양하나 에너지 수요관리 사업관련 경제성평가의 기본체계 구축을 위해 IEA에서 추진하고 있는 Task Force Team에 우리나라도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수요관리체계는 기획, 집행, 평가의 통합체계에서 기능별 전담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특히 독립적인 평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에너지 위원회가 이를 총괄하되 수요관리를 관장하는 전담 부서가 필요하며 에너지 공급사의 수요관리 부서는 세부분야별 수요관리사업에 대한 계획과 시행방법 그리고 자체 평가 및 보고업무에 대한 기능을 재정립하여야 한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수요관리의 정의 및 개념
3. 수요관리계획의 필요성
4. 수요관리의 필요성 및 체계개편 방향
5. 수요관리투자
6. 수요관리 투자비 보전방안

Ⅱ. 수요관리 방안 분석
1.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유형
2. 국내 수요관리 시책 및 프로그램 현황
3. 해외수요관리 현황

Ⅲ. 수요관리 정보 시스템 구축 방향
1. 용도별 에너지소비 정보
2. 수요관리정보 시스템의 주요 내용
3. 해외의 주요 수요관리 정보시스템

Ⅳ. 수요관리 경제성평가 방안
1. 해외 경제성 분석 모델 현황
2.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방안
3. 성과계량 방법론
4. 성과계량 모형 및 방법론 평가
5. 수요관리 투자 효과 분석
6. 수요관리 프로그램 경제성 분석 사례 (건물에너지 DSM프로그램 평가)

Ⅴ. 수요관리체계의 효율적 운영
1. 수요관리운영체계
2. 관련기관의 역할

Ⅵ. 결론 및 정책건의

참 고 문 헌

부록 1. 경제성 분석 모형 출력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