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수시연구보고서
요약
최근 1, 2년 동안 국제 원유가격의 연간 변동폭이 배럴당 10달러를 넘어서고 있고 국제 원유시장에서 유가의 급등과 급락 상황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연간 원유수입액이 총수입의 10%가 넘는 우리 나라로서는 단기 원유시장 전망과 함께 예상되는 유가변동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또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초점을 두어 유가변동의 거시경제분석 모형, 투입산출 모형을 정립하고 향후 이를 상용화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 유가전망에서, 2001년 연평균 도입원유가격은 배럴당 $23.50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2년도 도입원유가격은 배럴당 $20 - $22 수준으로 2001년 대비 약 10% 정도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거시경제모형을 통한 예측 결과 2001년도는 GDP 3.0% 증가, 상품수입 9.7% 하락, 석유제품가격 2.8% 인상, 석유수요 2.8% 증가, 생산자물가지수 6.1% 상승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1년도 10%의 도입원유가 하락 전망에 따라 예상되는 경제적 영향은 대미환율 불변(1,290원) 시나리오에서 GDP 5.2% 증가, 상품수입 7.7% 증가, 석유제품가격 1.1% 인상, 석유수요 8.1% 증가, 생산자물가지수 3.7% 상승으로 전망되었다.
투입산출표를 이용한 물가파급 영향분석 결과는, 도입원유가격 10% 인하의 경우 석유류 제품의 생산원가 인하율은 약 5% ∼ 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제품 이외에 원가인하 요인이 큰 부문으로는 기초석유화학제품, 열공급업, 전력, 도시가스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유제품 내에서는 나프타의 원가변동율이 약 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등·경유 약 6%, 중유 약 7%, LPG 6%, 휘발유 약 3%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거시경제모형은 추가적인 연구와 이론적 보완을 거쳐 2002년 중 상용화 모형으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 유가전망에서, 2001년 연평균 도입원유가격은 배럴당 $23.50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2년도 도입원유가격은 배럴당 $20 - $22 수준으로 2001년 대비 약 10% 정도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거시경제모형을 통한 예측 결과 2001년도는 GDP 3.0% 증가, 상품수입 9.7% 하락, 석유제품가격 2.8% 인상, 석유수요 2.8% 증가, 생산자물가지수 6.1% 상승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1년도 10%의 도입원유가 하락 전망에 따라 예상되는 경제적 영향은 대미환율 불변(1,290원) 시나리오에서 GDP 5.2% 증가, 상품수입 7.7% 증가, 석유제품가격 1.1% 인상, 석유수요 8.1% 증가, 생산자물가지수 3.7% 상승으로 전망되었다.
투입산출표를 이용한 물가파급 영향분석 결과는, 도입원유가격 10% 인하의 경우 석유류 제품의 생산원가 인하율은 약 5% ∼ 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제품 이외에 원가인하 요인이 큰 부문으로는 기초석유화학제품, 열공급업, 전력, 도시가스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유제품 내에서는 나프타의 원가변동율이 약 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등·경유 약 6%, 중유 약 7%, LPG 6%, 휘발유 약 3%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거시경제모형은 추가적인 연구와 이론적 보완을 거쳐 2002년 중 상용화 모형으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목차
Ⅰ. 서 론
Ⅱ. 국제원유시장 동향 및 2002년 전망
1. 개 요
2. 2001년 원유시장 동향
가. 1/4분기 동향
나. 2/4분기 동향
다. 3/4분기 동향
라. 4/4분기 동향
3. 2002년 국제유가 전망
가. 주요 시장변동 요인의 검토
나. 시나리오별 유가전망
Ⅲ. 유가변동의 경제적 영향분석
1. 개요
2. 분석모형의 구조
3. 모형식 추정
가. 민간부문
나. 정부부문
다. 수출부문
라. 수입부문
마. 석유부문
바. 실물부문(고용과 임금, 물가)
사. 국민소득계정과 무역수지
3. 모형의 검정과 시뮬레이션
4. 유가변동의 경제적 영향 전망
가. 가정
나. 시나리오별 전망
Ⅳ. 유가변동의 물가파급 효과 분석
1. 개요
2. 분석모형 및 분석의 주요 가정
가. 가격변동 물가파급 모형
나. 가정과 제약요인
3. 물가파급 효과분석의 결과
가. 산업연관표의 통합조정
나. 국제유가 및 환율변동 효과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