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수시연구보고서

연구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의 비용효과성 분석
기본연구보고서
  • 에너지전반
  • 에너지시장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의 비용효과성 분석

  • 발행일2023.10.31
  • 저자김지효
  • 총서사항기본연구보고서 23-02
  • 조회수1,250

요약


■ 연구의 필요성
 ○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개선은 국가 에너지원단위 개선, 국가 에너지수요 절감,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중요
  - 2022년 기준 산업부문은 우리나라 최종에너지 소비의 약 67% 이상,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54% 이상 차지
  - 온실가스 감축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에너지시스템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산업부문의 에너지효율 향상이 중요
 ○ 우리나라 산업부문 에너지원단위는 에너지다소비 산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인해 주요국 대비 높은 편이며 에너지효율 투자 수준도 미흡
  - 2020년 산업부문 에너지원단위는 0.021(toe/thousand 2015 USD PPP)로 약 0.015 이하인 주요국 및 OECD 평균 대비 높은 수준 유지
  -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 관련 2023년 정부 예산은 지원대상 조정 등 정책적 이유로 인해 2010년 대비 약 40% 감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에너지진단 결과 구축된 미시자료를 분석하여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의 비용효과성(cost-effectiveness)과 효율 투자 유인을 정량 분석
  - 산업부문 에너지소비 1toe 절감에 소요되는 에너지효율 투자비를 의미하는 에너지절감 비용(Cost of Saving Energy, CSE) 산출
  - 미시자료 대상 회귀 분석을 통해 사업장과 개선활동의 특징에 따라 CSE가 유의하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여 에너지효율 비용효과성과 관련 요인 도출
  - 이항선택모형(binary choice model)을 이용하여 산업부문 에너지진단 이행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식별
 ○ 본 연구는 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에 필요한 비용의 대푯값 수준 및 이 비용을 차별화하는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효율투자 의사결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 개선방향 제시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제2장 선행 연구
 1. 에너지효율 비용효과성 지표
  1.1. LBNL(2014; 2018)
  1.2. ACEEE(2014; 2021)
  1.3. Kang et al.(2022)
 2. 에너지효율 향상 요인
  2.1. 해외 선행연구
  2.2. 국내 선행연구
 3. 본 연구의 차별점
 
제3장 분석자료 및 방법론
 1. 분석자료
  1.1. 분석자료 개요
  1.2. 분석자료 가공
  1.3. 분석자료 세분화
 2. 분석자료 기초통계
  2.1. 사업장별 분석자료 기초통계
  2.2. 개선활동 단위 기초통계 분석 결과
 3. 분석방법론
  3.1. 비용효과성 지표
  3.2. 에너지효율 비용효과성 차별화 요인
  3.3. 에너지진단 이행가능성 결정요인
 
제4장 분석 결과
 1. 에너지효율 비용효과성 지표
  1.1. 개선활동 단위 비용효과성 지표
  1.2. 사업장 단위 비용효과성 지표
 2. 에너지효율 비용효과성 차별화 요인
  2.1. 개선활동의 비용효과성 차별화 요인
  2.2. 사업장의 비용효과성 영향요인
 3. 에너지효율 향상 결정 요인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