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안이슈
- 첨단원자로 시리즈 3. 용융염원자로 국내외 개발 동향
□ 주요단신
- 미 에너지부, ’50년까지 자국에 200GW 신규 원전 잠재적 필요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제시
- 미국 NRC, 선진 원자로 및 SMR 개발과 관련된 신규 인허가 규제 초안 발표
- NRC, 2024년 회계연도 예산·인력 증가 요청
- NRC, Westinghouse의 사고저항성연료에 활용되는 소결체 기술인 ADOPT 승인
- 미국, BWRX-300의 표준설계 개발 및 보급을 위해 5천억 원 투자 규모의 기술협력 협정 체결
- 미국 초소형 원자로 개발사 Last Energy, 영국과 폴란드에 SMR 34기에 대한 PPA 체결
- 미국·캐나다 정상, 상업원전 분야 포함한 양국 협력 강화 발표
- Virginia 주지사, SMR 개발 지원자금 및 산업 육성 포함된 에너지 지원 법안 서명
- 영국 정부, 녹색금융체계에 원자력 추가 고려
- 영국, 신규 원전 정책 추진 위한 공약 발표
- 영국 Rolls-Royce SMR, 우크라이나 및 핀란드와 SMR 도입 관련 양해각서 체결
- 프랑스 의회, 신규원전 신속 추진 및 원전발전량 비중 상한 폐지위한 법안 원문 통과
- 네덜란드, 신규원전 건설 사전작업 추진 및 전담기관 신설 요구
- 아르메니아, 유일한 가동원전인 Metzamor 2호기 2차 계속운전 승인
- 불가리아, Kozloduy 원전 안정적 가동 위해 대 러시아 제재에서 원전기자재 제외
- EU, 탄소중립산업법에 선진원자로 등 원자력 일부 수용...프랑스 반발
- EU 집행위, 신규 원자력·재생에너지 투자유도 및 전력시장가격 변동성 영향 완화를 위한 양방향 차액정산계약제도 제안
- 인도네시아, 미국과 SMR 도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및 합의각서 체결
- 방글라데시, 건설 중인 Rooppur 원전 가동 2025년까지로 연기
- 일본 Mitsubishi중공업, 원전 연료 자회사의 노심설계 사업 등 흡수
- 일본 하마오카1·2호기, 방폐물 처리 효율화 위해 원자로 해체 착수 1년 연기
- 중국, 러시아 Rosatom과 고속로와 핵주기 포함한 원자력 기술 협정 체결
- 중국, Fangchenggang 3호기 상업운전 시작
- 중국, Sanmen 4호기 착공
|